리눅스 압축풀기 명령어

리눅스 2017. 10. 12. 10:15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tar 혹은 tar.gz로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어야 할 경우가 자주 생긴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리눅스에서는 tar 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tar 명령어도 여러가지 옵션이 있지만 각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기 보단,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패턴만 정리한다.



1. tar로 압축하기

> tar -cvf [파일명.tar] [폴더명]


ex) abc라는 폴더를 aaa.tar로 압축하고자 한다면

     > tar -cvf aaa.tar abc



2. tar 압축 풀기

> tar -xvf [파일명.tar]


ex) aaa.tar라는 tar파일 압축을 풀고자 한다면

     > tar -xvf aaa.tar



3. tar.gz로 압축하기

> tar -zcvf [파일명.tar.gz] [폴더명]


ex) abc라는 폴더를 aaa.tar.gz로 압축하고자 한다면

     > tar -zcvf aaa.tar.gz abc



4. tar.gz 압축 풀기

> tar -zxvf [파일명.tar.gz]


ex) aaa.tar.gz라는 tar.gz파일 압축을 풀고자 한다면

     > tar -zxvf aaa.tar.gz




참고로, 위의 옵션들을 포함한 그나마 자주 사용되는 tar 명령어의 옵션들은 아래와 같다.



 옵션

 설명

 -c

 파일을 tar로 묶음

 -p

 파일 권한을 저장

 -v

 묶거나 파일을 풀 때 과정을 화면으로 출력

 -f

 파일 이름을 지정

 -C

 경로를 지정

 -x

 tar 압축을 풂

 -z

 gzip으로 압축하거나 해제함



출처: http://nota.tistory.com/53 [nota's story]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utty 명령어  (0) 2017.10.12
posted by fori`s

centos7 톰캣설치

리눅스/Centos 2017. 10. 12. 10:10

1. jre, jdk 설치 (설치 되어 있지 않은 경우)

yum list java*jdk-devel

아래와 같이 설치할 수 있는 패키지 목록이 뜬다.

Available Packages

java-1.6.0-openjdk-devel.x86_64                                                                                       1:1.6.0.38-1.13.10.4.el6                                                                                       base   

java-1.7.0-openjdk-devel.x86_64                                                                                       1:1.7.0.99-2.6.5.1.el6                                                                                         base   

java-1.8.0-openjdk-devel.x86_64                                                                                       1:1.8.0.131-0.b11.el6_9                                                                                        updates


yum install java-1.7.0-openjdk-devel.x86_64 로 설치



2. 톰캣설치

wget http://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7/v7.0.50/bin/apache-tomcat-7.0.50.tar.gz

/usr/local 에 tomcat7이라는 폴더명으로 압축해제


3. 방화벽에서 포트 개방

 1) vi /etc/sysconfig/iptables 로 방화벽 설정을 연다. 

 2) 아래와 같이 INPUT ACCEPT [0:0] 밑에 지정 포트를 개방한다

- iptables 파일 내용

# Generated by iptables-save v1.4.7 on Tue Feb 28 16:53:24 2017

*filter

:INPUT ACCEPT [0:0]

#Tomcat Config

-A INPUT -m state --state NEW -m tcp -p tcp --dport 8080 -j ACCEPT

#other port enable

-A INPUT -p tcp -m tcp --dport 5858 -j ACCEPT

 3) 적용 

service iptables restart


4. 톰캣 실행

cd /usr/local/tomcat7/bin

./startup.sh


5. 부팅 시 자동시작 설정

cd /usr/local/tomcat7/bin

./startup.sh

위 명령어를 /etc/rc.local에 추가


vim /usr/local/tomcat7/conf/server.xml


포트는 8080을 8181로 변경


cd /usr/local/tomcat7/bin

./shutdown.sh

./startup.sh




참고로 특정 서버에 포트까지 열려있는지 확인하려면 tcping 이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편리합니다.


'리눅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mariadb설치  (0) 2017.11.02
아파치 설치  (0) 2017.11.02
CentOS 7 Oracle 11G Release 2 (11.2) DB 설치  (0) 2017.10.26
centos7 재부팅후 명령어  (0) 2017.10.12
posted by fori`s

centos7 재부팅후 명령어

리눅스/Centos 2017. 10. 12. 10:08

centos7 시작시.txt

centos7

systemctl restart named

service mariadb restart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restart httpd.service

'리눅스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mariadb설치  (0) 2017.11.02
아파치 설치  (0) 2017.11.02
CentOS 7 Oracle 11G Release 2 (11.2) DB 설치  (0) 2017.10.26
centos7 톰캣설치  (0) 2017.10.12
posted by fo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