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글
* 파일/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 ls : 디렉토리/파일 목록보기
- ls -al : 숨겨진 디렉토리/파일 목록까지 정렬된 형태로 보기
- cd (디렉토리이름)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 cd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 pwd : 현재 디렉토리의 위치 보여주기
- mkdir (디렉토리이름) : 해당 디렉토리 만들기
- rm (파일이름) : 해당파일 지우기
- rm -r (디렉토리이름) : 해당 디렉토리 지우기
- rm -f (파일이름) : 강제로 해당파일 지우기
- rm -rf (디렉토리이름) : 해당디렉토리와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삭제
- cp [파일1] [파일2] : 파일1을 파일2라는 이름으로 복사
- cp -r [디렉토리1] [디렉토리2] : [디렉토리1] 안에 있는 것들을 [디렉토리2]로 복사/ [디렉토리2]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디렉토리2]를 만듬.
- mv [파일1] [파일2] : [파일1]을 [파일2]로 이름을 바꾸거나 옮김. [파일2]가 디렉토리로 존재한다면 [파일1]을 [파일2] 디렉토리로 옮김.
- touch [파일이름] : 해당파일을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 cat > [파일이름] : 입력을 해당이름으로 저장
- cat < [파일이름] : 해당파일의 내용을 출력(모두 출력)
- more [파일이름] : 해당파일의 내용을 출력(구분 출력)
- head [파일이름] : 해당파일의 첫 10줄을 출력
- tail [파일이름] : 해당파일의 마지막 10줄을 출력
- tail -f [파일이름] : 해당파일에 추가되는 내용을 출력, 마지막 10줄부터 출력함.
- ps : 현재 활성화된 프로세스 보여주기
- top :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 보여주기
- kill [프로세스 id] :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프로세스 idㄹ를 줄여서 pid라고 함/pid는 'ps'명령어를 입력하였을 때, 해당 프로세스의 맨 앞에 위치한 숫자를 의미한다.
- bg : 정지되었거나 화면에서 안보이게 실행중인 프로세스 보여주기/정지된 프로세스를 화면에 출력하지 않고 계속 진행하기
- fg : 화면에 보이지 않게 작동하던 작업 중 최근의 것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작동시키기
- fg n : 화면에 보이지 않게 작동하던 작업 중 n 번째 작업을 화면에 출력하면서 작동시키기
- chmod [권한숫자][파일이름] : 해당파일의 퍼미션값을 해당 권한숫자대로 바꾸고 숫자는 3자리이며 첫 번째는 소유자, 두번째는 그룹, 세번째는 익명의 권한을 더해서 나타낸다.
- Ctrl+C : 현재 명령의 실행을 강제로 마침
- Ctrl+Z : 현재 명령을 멈춤. fgf를 이용해서 계속해서 화면에서 보이도록 실행하거나 bg 를 이용해서 안보인채 계속 실행.
- Ctrl+D : 현 세션에서 로그아웃, exit와 비슷
- Ctrl+W : 현재 라인에서 한 단어 삭제
- Ctrl+U : 현재 줄 전체 삭제
- Ctrl+R : 최근 입력한 명령어 보여주기
- !! : 마지막 명령어 반복실행
- exit : 현재 세션에서 로그아웃
출처: http://smiler.tistory.com/entry/Putty-명령어 [아직은 내가 쓴 글보다 퍼온 글이 훨씬 많음]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압축풀기 명령어 (0) | 2017.10.12 |
---|
글
[Chuwi Hi8] 윈도우10 재설치 (공장초기화 후 사고 기기용-뻑,부팅안됨,블랙스크린)
http://pgstudy.tistory.com/admin/entry/post/?type=post&returnURL=/manage/posts/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문제시 삭제할께요
오피스, 한글 등을 설치하다가 상태가 엘롱이 된 Hi8...
완전 공장초기화를 시키고 새로 설치하려고 했다.
리커버리 메뉴에서 다 지우고 새로 시작하는 메뉴를 선택을 했는데
부팅 후 화면에 아무것도 안나타나는
블랙 스크린 증상이 나타났다.
그래서 윈도우니까 어떻게 해야하나? 하다가
구글링을 통해 알게되었다.
Hi8 윈도우 10 이미지로 재설치하기....
준비물은 아래 4가지...
USB허브
USB 키보드와 마우스 - 마우스는 부팅시 화면터치가 활성화가 안되기 때문에 꼭 필요함
4GB 이상의 FAT32 포맷의 USB 메모리 : USB 포맷할때 볼륨 레이블을 WINPE라고 꼭 해야한다고 한다.
- "몇몇분들의 작업에서 WINPE라고 하지 않았더니 설치가 안되었다는 댓글이 있네요...^^"
- "마루타가 되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 윈도우10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야한다.
TechTablets 사에 올라온 윈도우10 이미지를 발견했다.
http://techtablets.com/2015/07/chuwi-hi8-windows-10-image-with-recovery-partiton/
(익스플로러보단 크롬으로 접속 추천)
***** Part 1~5까지 모두 다운로드 한다.
2. part1을 압축을 풀면 3.25GB의 폴더가 생성된다.
(분할압축 파일로 1번을 풀면 5번까지 다 풀립니다.)
(1번 파일을 압축 풀었으면, 2,3,4,5번 파일은 압축 안 풀어도 됩니다.)
3. 준비된 USB 메모리 최상위에 bootmgr을 포함한 모든 파일과 폴더를 복사한다.
4. Hi8을 전원오프한 상태에서 USB허브를 연결하고 키보드, 마우스, USB메모리를 꽂는다.
5. 키보드의 ESC키를 누른 상태에서 Hi8 전원을 눌러 On 시킨다.
6. 부팅 메뉴가 나오면 4번째 'Boot From File'을 선택한다.
7. 그럼 아래처럼 부팅 가능한 저장소와 타입.. 볼륨 등이 나오는데 준비한 USB의 볼륨인 WINPE를 선택한다.
8. 그럼 USB에 저장된 폴더와 파일이 나오는데 제일 아래 bootmgr.efi를 선택해서 부팅을 시작한다.
9. 아래처럼 하늘색 바탕에 cammand prompt가 뜨면서 Text가 주욱 올라간다. 겁먹지말고 기다린다. 인내하면서...
10. 얼마 지나지 않아 Applying image라고 나오고 기다리던 % 게이지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ㅋㅋㅋㅋㅋ
11. 아래처럼 완료가 되면... 어두운 초록으로 바뀌면서 정지된 화면이 되는데 'EXIT'를 쳐서 빠져나와서 재부팅을 하면된다.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을 보면 9분 30초정도 걸리네요...
####
처음부터 순서대로 찬찬히 한글자도 빼지말고 읽어보고 그대로 해보세요.
건너뛰어서 안된다 하시면 저도 왜 안되는지 찾아드리기 힘듭니다.
그리고 윈도우가 설치가 다되고면
터치스크린 드라이버를 설치해야하는데
http://techtablets.com/chuwi-hi8/downloads/
제 경우에는 터치스크린만 안 잡혀서 아래꺼 다운받아서 설치했는데
모든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필요하면 위에 88.6MB 다운 받아서 설치하시면 됩니다.
글
리눅스 포트 열기
아래의 예제 부분만 따라 하시면 해당 port에 대해 모두 열 수 있습니다.
Inbound (외부에서 서버로 들어오는) , Outbound( 서버에서 외부로 나가는 ) 모두 port를 열기 위해서는 아래의 iptables로 INPUT, OUPUT 을 해주면 모두 열립니다.
권한은 root에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5900 -j ACCEPT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5900 -j ACCEPT
예를 들면 ) FTP port 21번을 열고 싶다.
iptables -I INPUT 1 -p tcp --dport 21 -j ACCEPT
iptables -I OUTPUT 1 -p tcp --dport 21 -j ACCEPT
port 만 맞게 넣어주면 됩니다.
열려있는 모든 포트
# netstat -nap
LISTEN 되는 모든 포트
# netstat -l (netstat -nap | grep LISTEN)
모든 서비스 동시 접속자 수
# netstat -nap | grep ESTABLISHED | wc -l
웹 동시 접속자 수
# netstat -nap | grep :80 | grep ESTABLISHED | wc -l
RECENT COMMENT